MS 스카이드라이브를 써보자!!
마이크로소프트 하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시장 지배적 기업, 독점 기업, 골리앗, 반독점 소송, 높은 가격, 빌게이츠, 어마어마한 기부 등 좋은 점 보다는 나쁜 점을 더 많이 떠올리는 분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런 MS가 자의든 타의든 서서히 변화해가고 있습니다. 물론 그 변화의 주역은 구글이지요. 구글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플랫폼을 구축하고 시장지배적 위치를 공고히 하던 MS로선 자신의 파이가 줄어들 것을 염려해(플랫폼의 변화) 다방면에서 좋은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폴더쉐어 ( http://fafagel.com/261 참고 )라든가 포토신스, 버츄얼 어스, 솝박스, Windows Live Suite(구글 패키지와 흡사한 MS의 서비스입니다. - 이와 관련해서 http://fafagel.com/257 글을 참고하세요), 대용량 메일 등을 내놓으며 기존의 유저는 물론 새로운 유저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맥락에서 나온 것이 스카이 드라이브입니다. MS도 최근 들어서 네이밍 센스가 참 좋아지고 있죠. 포토신스, 실버라이트, 스카이드라이브... 이름 기억하기 쉽죠. 예전처럼 길지 않아 다행입니다.
자!! 사설은 여기서 접고 스카이드라이브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 ─────。+。…───────────────
──────────────。+。…─────────── ─────。+。…───────────────
이상으로 스카이드라이브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1Gb의 용량을 무료로 제공한다는 점, 공유폴더에 RSS 기능이 있다는 점은 굉장히 매력적인 요소입니다. 업로드 할 파일 용량의 크기도 50Mb이니까 웬만한 파일은 다 담을 수 있죠.
기존에는 P2P서비스를 이용해 중요 파일을 저장한다고 해도 그 기간도 한정되어 있고, 게다가 유료였죠. 또한 이메일의 첨부파일 서비스도 20Mb가 한계이며, 그 이상의 경우엔 역시 기간이 한정되어 있어서 아쉬운 분들께는 이 스카이드라이브를 강력 추천합니다. 정말 유저의 가려운 부분을 긁어준 서비스라고 칭하고 싶습니다.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D롬 & 가상드라이브 & USB가 자동실행되지 않을때.. (7) | 2008.02.09 |
---|---|
윈도우 익스플로러에서 자바 스크립트가 실행이 안 될때. (4) | 2007.11.20 |
무료 저장공간 MS 스카이드라이브를 써보자!! (16) | 2007.10.16 |
네이트닷컴 맥용 네이트온 출시 (6) | 2007.10.07 |
Ccleaner를 써보자!! (2) | 2007.10.06 |
여러 운영체제 제품을 재미있게 비교한 이미지 (14) | 2007.09.12 |
'해당지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의 압박... OTL...
영문 주소로 들어가셔야 합니다. 영문 주소로 들어가도 그 문구가 뜨나요?
파폭으로 사용하면 active x 설치하지 않아도 됩니다
IE7으로만 해서 그렇답니다. 불여우에서 되는군요. 혹시나 싶어 안했는데 말이죠. 말씀 감사합니다.
MS가 선수쳤군요..양 진영간 싸움 볼만합니다..
그리고 짚고넘어갈것은 스피드가 문제가 되겠군요 . 서버가 외국이라...
메트큐 아시죠? 거기나, 저의 경우 엠파스의 파일박스인가? 거긴 500메가 주고 100메가 이상은 보름정도 여유주고 삭제한답니다. 그 이하는 계속 보관. ...
그리고 파일박스 화면에 보면 '굿바이 USB'라고 되어있지만,USB에 저장하는게 훨씬낫더군요.
저 같이 공유를 하지않는, 개인사용자들은 웹하드가 큰 메리트가 없습니다.
제 경우에야 협업을 통해서 작성하는 게 꽤 돼기 때문에 이런 무료 스토리지는 굉장히 반가울 따름이죠. MS가 의외로 구글에게 선수친 부분은 많답니다. 다만 MS의 엉성한 네이밍 센스와 마케팅능력이 빛을 발하지 못해서 그렇죠. Ajax도 90년대 MS에서 나온 거죠. 물론 구글이 자사의 이메일과 웹오피스부문에서 선보여 유명해졌지요.! ㅎㅎ
서비스 멋져보입니다.
속도문제도 있고하니 한국에서 정식서비스될 때를 한번 기다려야 겠네요.
아직은 Beta라는 꼬리표를 달고 있으니 말이죠. 한국에서 정식 서비스 된다면 좋겠습니다.그런데 데이터센터를 한국 MS에서 질까요. 아니면 NHN처럼 기존 사업자들에게 맡길까요?
좋은 글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최근에 베타딱지를 띠었다고 하는데, 업로드 속도가 너무 안나오네요. 연구실이라 업로드 속도도 광랜급인데.. 서버가 해외에 있어서 그런 것일까요. 음..
미국에선 800KB까지 나온다고 하네요. 서버가 해외에 있어서 속도가 더딘 듯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료에 대용량 저장장치, 그리고 파일저장기간에 제한이 없다는 점은 너무나 매력적이죠. 외부링크도 가능하구요. 전 음악파일을 잔뜩 올려놓고 피시방이라든가 다른 외부 컴퓨터를 사용할 때 다운 받아서 즐길때 주로 이용합니다. 제가 듣는 곡들이 거의 희귀, 래어급이라(?) 미니홈피나 네이버 뮤직에 없는게 많아요.;;
오.. 아도니스님도 알고계셨군요!!
좋습니다.. 3GB까지 준다니. 그것도 무료로...
사용자한테는 좋지만..
속도가 너무 느려서요 ㅠ_ㅠㅋ 그냥 안 쓰고 있답니다 ㅋ
ㅋ.. 이건 사람들이 사용하기 한참 이전 한글서비스가 되기 이전에 쓰여졌던건데요.^^
현재는 속도도 다소 빨라졌습니다. 다시 사용해보심이 어떨까요.
지금은 한국에서도 서비스 하고 있잖아요? 저는 사용하고 있는데요~
용량은 5기가 주더라구요.... 첨에 속도가 좀 느렸는데, 얼마전에 업그레이드 되고 나서
추가 기능들도 생기고(preview라던지, 파일마다 설명을 달 수 있다던지의...) 속도도 빨라졌어요^^
예. 제가 글을 쓸 당시(작년이므로)에는 한글 서비스가 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MS에서 윈도우즈 라이브 슈츠에 대대적으로 홍보를 하면서 한글화된것으로 알고 있어요. 말씀하신대로 현재는 속도도 나아졌고, 프리뷰 기능도 들어가 있어 이전보다 훨씬 나아졌네요.